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지금 확인하시면 지투지바이오의 공모가 산정부터 균등 배정 가능성까지 한 번에 정리하실 수 있어요.

     

    Step 1. 지투지바이오 기업 개요 및 기술력

    지투지바이오는 2017년 설립된 바이오 기업으로, 약효 지속형 약물 전달 플랫폼인 이노램프(InnoLAMP) 기술을 기반으로 비만, 치매, 탈모 등 만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독일 베링거인겔하임과의 공동연구가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기술 특례 상장 조건을 충족했죠.

     

    Step 2. 공모가 산정과 수요예측 결과

    지투지바이오는 희망 공모가 밴드 48,000원~58,000원을 제시했고,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무려 810.6:1이라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그 결과, 공모가는 최상단인 58,000원으로 확정되었죠.

    흥미로운 점은 해외 기관 투자자도 총 132곳이나 참여하며 글로벌 관심도 확보했다는 사실입니다.

    Step 3. 균등 청약과 배정 전략

    일반 청약은 균등 50%, 비례 50% 배정 구조였고, 미래에셋증권 단독 주관이었습니다. 하지만 높은 청약 경쟁률로 인해 균등 배정은 0.3~0.4주 수준에 그쳤고, 비례 1주를 받기 위해선 약 1,700만 원 이상을 넣어야 했다는 후기도 많았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전략 포인트는 **청약 최소 수량 + 소수점 배정 구조**입니다. 실제로 약 5사6입 전략(600주 청약)으로도 1주 비례 배정을 받은 사례가 보고됐죠.

    Step 4. 단기 수익 기대 vs 락업 리스크

    지투지바이오의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상장 직전에 41.76%까지 올라갔지만, 기존주주 유통 물량이 많고 상장일 유통금액이 882억 원에 달했기 때문에, 락업 해제 시점인 1개월 후에는 변동성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단기 투자자라면 시초가 매도 전략, 중장기 투자자라면 락업 해제 전후 일정에 주의가 필요하죠.

    지투지바이오 매도 타이밍도 함께 보세요

    공모주 청약 전략을 세웠다면, 이제 매도 전략도 참고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미 매도 시점을 정하셨다면, 다른 투자자들은 어떤 타이밍에 수익 실현을 했는지도 살펴보세요.

     

     

    이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작성자의 개인적인 의견과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공모주 및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며, 모든 투자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 전 반드시 본인의 재무 상황과 투자 성향을 고려하고, 최신 공시 자료 및 증권사 안내문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